목록분류 전체보기 (153)
자바칩
특정 파일만 스테이징 취소하기git restore --staged 파일명 모든 파일의 스테이징 취소하기git restore --staged .
실행파일이 레지스트리에 등록되어있는지 확인하는 명령어reg query HKCU\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Run /v 실행파일명 실행파일을 레지스트리에서 삭제하는 명령어reg delete HKCU\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Run /v 실행파일명 /f 실행파일을 레지스트리에 등록하는 명령어 reg add HKCU\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Run /v 실행파일명 /t REG_SZ /d 실행파일이위치한폴더\실행파일명.exe /f
트레이 아이콘이 실행되지 않는 이유uvicorn.run()은 블로킹(blocking) 함수라서 한 번 실행되면 프로그램의 실행 흐름을 멈추고 대기 상태에 들어간다.즉, uvicorn.run()이 실행된 상태에서 트레이 아이콘을 실행할 기회를 가지지 못한다.따라서 uvicorn.run()을 실행하면 트레이 아이콘 실행 코드에 도달하지 못하기 때문에 실행이 안 된다.
Windows 기준 1. pyinstaller 설치: cmd 창에서 아래 명령어를 실행pip install pyinstaller 2. pyinstaller로 exe 파일 생성pyinstaller --onefile --windowed 파이썬소스파일.py--onefile : 단일 EXE 파일로 패키징--windowed : 콘솔 창 없이 GUI 앱 실행 (default: --console)--add-data : 실행에 필요한 추가 데이터 포함--noupx : UPX 패킹을 비활성화하여 안티바이러스 감지 방지. UPX 압축 해제를 방지하여 실행 속도 개선--noconfirm : 기존 빌드 데이터를 재사용하여 빌드 속도 향상--clean : 빌드 캐시를 정리하여 깨끗한 상태에서 빌드--log-level=ERROR..
1) .gitignore 파일에 제거할 디렉토리 또는 파일을 적기 2) 기존에 업로드된 디렉토리 또는 파일을 Git에서 제거원격 저장소에서 해당 디렉토리 또는 파일을 제거하지만, 로컬 저장소에서는 유지됨git rm -r --cached 파일 3) 변경 사항 커밋 & 푸시git commit -m "Removed 파일 from repository"git push origin 브랜치명
git pull origin 브랜치명 --rebase로 원격 저장소의 최신 코드를 받아오려고 했는데, 현재 작업 중인 변경사항을 모두 처리해야 가능하다는 에러 문구가 뜬다.하지만 현재 작업 중인 변경 사항 중에서 커밋을 하면 안되는 파일들이 있다.이럴 때는 stash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해결하면 된다. 1. 현재 변경 사항 임시 저장 (stash)git stash push -u 2. 리베이스 방식으로 pullgit pull origin 브랜치명 --rebase 3. stash한 변경 사항 복원git stash pop 4. 다시 pushgit push origin 브랜치명
가상환경 생성python -m venv .venv 가상환경 활성화Set-ExecutionPolicy RemoteSigned -Scope CurrentUser .\.venv\Scripts\Activate 가상환경 비활성화deactivate
IDE 캐시 삭제 후 재빌드IDE가 여전히 빨간 줄을 표시한다면 캐시 문제일 수 있습니다.✅ EclipseProject → Clean... 실행 후 프로젝트 선택 후 OKWindow → Preferences → Java → Installed JREs → 현재 사용 중인 JDK 선택 → Edit 클릭Add External JARs...에서 Spring Boot 관련 JAR 추가✅ IntelliJFile → Invalidate Caches / Restart 실행Invalidate and Restart 클릭프로젝트를 다시 빌드 (Build → Rebuild Pro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