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Study/Command (22)
자바칩
이 글에서는 로컬 브랜치를 develop, 원격 브랜치를 main 으로 가정합니다. 🔹 안전한 Git 작업 흐름 (로컬 develop → 원격 main) 1. 작업 시작할 때 (항상 최신 main 반영) git checkout developgit pull origin main # 내 develop 브랜치에 최신 main 반영 2. 내 작업 진행 # develop 브랜치에서 코딩하고 commitgit add .git commit -m "작업 내용" 3. 작업 끝나고 main에 반영 git checkout maingit pull origin main # 혹시 모를 팀 변경사항 최신화git merge develop # 내 작업(main으로 합치기)git push orig..
■ Rebase 후 안전하게 병합(Merge)하는 방법 1. develop 브랜치의 커밋들을 main 브랜치의 최신 커밋 뒤에 재정렬 (rebase 수행)git checkout developgit rebase maingit push origin develop --force-with-lease 이 명령은 develop 브랜치에서 작업한 커밋들을 main 브랜치 기준으로 "다시 쌓는" 작업입니다.결과적으로 커밋 히스토리가 더 깔끔하게 정렬됩니다. 2. 정리된 develop 브랜치를 main 브랜치에 병합git checkout maingit pull origin maingit merge --no-ff develop -m "커밋메시지"git push origin main 이미 main 기준으로 리베이스된 커밋들..
로컬 브랜치 삭제git branch -d 브랜치명 원격 브랜치 삭제git push origin --delete 브랜치명
docker build -t 이미지명 .docker stop 컨테이너명(또는 컨테이너ID)docker rm 컨테이너명(또는 컨테이너ID)docker run -d --restart=always --name 컨테이너명 -p 포트번호:포트번호 이미지명
1. 기존에 실행했던 컨테이너 확인docker ps -a 결과 예시) CONTAINER ID IMAGE STATUS NAMESf47778d4143c project-server Exited (0) 2 hours ago project-container 여기서 STATUS가 Exited면 꺼진 상태입니다.2. 꺼진 컨테이너 다시 실행docker start 예시)docker start project-container ordocker start f47778d4143c 이 명령은 이미 생성된 컨테이너를 재시작하는 것이므로 다시 docker run 할 필요는 없습니다.✅ 자동 재시작 옵션 사용 (원할 경우)컨테이너를 처음 만들 때 아래처럼 실..
curl -X {요청방법} http://localhost:{포트}/{테스트할 API} -H {헤더} {}는 제외하고 작성 요청방법: GET/POST/PUT/DELETE포트: 직접 설정한 포트테스트할 API: 직접 작성한 API헤더 예시: "Authorization: Bearer 토큰"
⚠️주의: 이 작업은 로컬 변경 사항을 모두 날려버림 1. 원격 저장소의 최신 상태를 가져옴 (병합은 안 함)git fetch origin 2. 로컬 브랜치를 원격 브랜치와 동일하게 덮어쓰기. 변경 파일, 스테이징된 것, 커밋 안 된 것 전부 삭제됨git reset --hard origin/브랜치명 * 정말 중요한 변경사항이 있다면?reset --hard는 되돌릴 수 없기 때문에, 혹시 몰라서 백업하려면 먼저 이렇게:git stash push -m "backup-before-reset" 그 후에 reset 해도 됨.